(재)김해문화재단 웹진

search

같이 그린(Green)

  • Total 12
환경과 그린라이트

환경과 그린라이트

겨울철 탄소중립 실천해요

겨울철 탄소중립 생활 실천 1난방 온도 2℃ 낮추기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18~20℃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한파 대비 건강수칙’에 따르면 겨울철 실내 적정 온도는 18~20℃다. 실내 적정 온도 기준에 맞춰 보일러 온도를 조절해 겨울철 실내외 온도차를 줄이면 우리와 환경 모두의 건강을 챙길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실내 온도 2℃를 낮추는 것으로 가구당 연간 166.8kg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고, 국내 가구 수 10%가 참여하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34만 8462t 줄어든다.보온 용품을 활용해 몸을 데워요난방을 낮춰도 실내에서 따뜻하게 보내는 방법은 없을까? 겨울 감성까지 챙기면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내복이나 수면양말, 담요 등 보온용품을 활용하고, 다회용 컵으로 뜨끈한 차 한 잔 마시면 몸이 훈훈하게 데워진다. 창틀과 문틈으로 들

탄소발자국 줄이는 가을 밥상

탄소발자국 줄이는 가을 밥상

푸드 마일리지, 봉하장날

생산부터 소비까지 환경을 생각하는 로컬푸드 우리 밥상에 오르는 식품들을 살펴보면 전국을 넘어 전 세계에서 온 것일 때가 많다. 한 예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가별 곡물자급률'에 따르면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최근 3년(2020~2022년) 평균 19.5%에 불과하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곡물 80% 이상이 수입품인 것이다. 수입 먹거리로 식재료가 다양해져 식탁은 풍성해졌을지 모르지만 환경에 대한 부담은 매우 커졌다. 농산물이 생산, 운송, 소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담의 정도를 ‘푸드 마일리지’라고 하는데 이동 거리가 길수록 탄소 배출이 늘어나 탄소발자국을 키운다. 친환경으로 키운 농산물도 멀리 이동하기 위해서는 첨가물을 사용해야 하고 포장재를 넣어 농산물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탄소발자국과 푸드 마일리지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중간 유통 없이 50km 반경 이내에서 생산된 지역

놀며 산책하며 지구를 생각해요

놀며 산책하며 지구를 생각해요

기후변화 테마공원

기후변화테마공원 즐기기 01 가벼운 산책 김해시립장유도서관과 이웃한 기후변화테마공원은 그 어느 곳 못지않게 가을과 잘 어울리는 곳이다. 산책 코스를 따라 군데군데 놓인 기후 이야기들은 서가의 책 같아 눈요기하듯 혹은 이야기하듯이 읽어가기 좋다. 놀이터 입구에는 350사인 안내판이 눈에 띄는데, 350이란 북극과 남극의 빙하가 녹지 않는 이산화탄소 농도인 350ppm을 지키자는 캠페인이다. 조금 더 걷다 보면 자가발전 운동기구를 만난다. 자전거 페달을 열심히 밟으면 조명이 들어와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것을 바로 볼 수 있다. 테마놀이벽은 미로로 만들어진 놀이터로 기후변화로 일어나는 위험성과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환경보호법을 아이들의 눈높이로 풀어 놓았다. 기후변화테마공원 즐기기 02 놀며 체험하기 기후변화테마공원에서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예약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먼저 체험관 해설을 운영하는데, 평일에는 단체로, 주말에는 가족

김해로 떠나는 따르릉 탄소중립, 자전거 타기로 실천해요

김해로 떠나는 따르릉 탄소중립, 자전거 타기로 실천해요

김해에서 즐기는 자전거 생활의 모든 것

자전거 생활이 환경에 미치는 선한 영향력은 얼마나 될까?행정안전부에서 만든 <성인을 위한 자전거 Q&A -자전거를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한 달에 20일을 매일 5km씩 자동차로 이동한 사람은 이산화탄소(CO2)를 약 3.048kg배출한다. 반대로 자전거로 이동한다면 이와 같은 양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으며 924그루의 어린 소나무를 심는 효과가 있다.김해는 자전거로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좋은 도시다. 김해시는 누구나, 언제, 어디든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공영 전기자전거 타고가야를 운영하고 있다. 타고 가야는 자전거로 주요 관광지를 연결해 가야(加耶)를 여행해 보고, 대중교통 중심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공영자전거를 타고가야(Go) 한다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서비스 구역은 박물관역 중심 반경 3km 이내로, 대여 및 반납은 고고가야 스마트관광 홈페이지 로그인으로 쉽게 가능하다.김해에는 자전거로 달려보고 싶은 거리가 곳곳에 있

우리 함께 용기 내요!

우리 함께 용기 내요!

김해시 용기 낸 가게

빵공장 주소 김해시 율하카페길 5-10 1층 운영 10:00~21:00 (매주 화요일 휴무) 문의 055-325-4026 instagram @bread_ina 빵공장 손님들은 빵공장이 ‘용기 낸 가게’가 되기 전부터 용기를 들고 매장을 찾았다. 가게가 초록매장이라 다회용기에 음료나 음식 포장 시 사용 가능한 경남 제로페이 상품권인 환경사랑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빵공장의 빵은 70%가 따로 포장이 안 돼 있기 때문에 상품권 사용 외에도 용기를 가져오면 할인을 해줬다. 평소에도 용기를 가져오던 한 손님이 김해시 용기 낸 가게를 알려줬고 정식 등록도 한것이다. 빵공장에서는 용기를 가져가 빵을 구매하면 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카페탱자 주소 김해시 봉황대길 58-5 운영 12:00~22:00 문의 0507-1397

김해로 떠나는 친환경 여행

김해로 떠나는 친환경 여행

김해 낙동강 레일파크/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

친환경 추천 여행지 01 김해 낙동강 레일파크 큰 이동 없이 한 장소에서 친환경적으로 놀 수 있고 다양한 연령대도 같이 즐길 수 있는 곳이 김해낙동강레일파크 아닐까? 이곳은 낙동강 유역 폐선 된 경전선 기찻길을 활용해 친환경 철도 테마파크를 만든 곳이다. 왕복 3km 이루어진 레일바이크는 강 위 철교에서도 탈 수 있다. 철교 위에서 페달을 밟으면 마치 옛 기찻길을 지나가듯 철길 소리가 들린다. 달달한 휴식을 즐길 공간도 있는데, 김해시 특산물 산딸기 와인을 전시 및 판매하는 와인동굴부터 새마을호 열차를 활용한 열차카페, 철교 전망대까지 골고루 만끽해 보자. 주소 김해시 생림면 마사로473번길 41 문의 055-333-8359 홈페이지 https://ghrp.co.kr/ 친환경 추천 여행지 02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 봉하마을 생태문화공원은

탄소중립 실천 챌린지

탄소중립 실천 챌린지

김해시와 함께해요

기후행동 1.5℃ 앱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 또는 제거해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탄소중립이라고 한다. 정부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일상 속 탄소중립을 실천하면 포인트로 돌려주는제도를 만들었다.이런 탄소중립포인트 제도를 한곳에 모은 통합 플랫폼이 ‘기후행동 1.5℃ 앱이다. 이전에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를 대상으로 운영했으나 확대 개편해 모든 국민이 이용가능하다.김해시에서는 앱 홍보와 기후지킴이 탄소교육과 연계해서 챌린지를 진행했다.오늘은 내가 탄소중립 실천왕지구의 날(4.22.)과 환경의 날(6.5.)을 기념해 진행하는 챌린지는 6월 9일까지 진행되며 김해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시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참여 방법은 기후행동 1.5℃ 앱 회원 가입 후 김해시 챌린지를 선택하고 접속코드 1004를 입력하면 된다. 이후 기후행

줍깅하는 어린이들, 김해 꽁린이수사대

줍깅하는 어린이들, 김해 꽁린이수사대

어린이들이 제안하는 환경 실천 방법

우리는 꽁린이수사대예요~! 꽁린이수사대는 2012년 설립해 지역사회 곳곳에서 자발적인 재능기부 및 문화활동을 하고 있는 생활문화 공동체 ‘맘만세’의 주도로 만들어졌다. ‘맘만세’의 권용우 기획자가 수사대장을 맡아 아이들과 함께 마을의 여러 놀이터를 돌아다니며 공동체 놀이와 줍깅을 한다. 놀이터 청소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발견된 쓰레기는 놀랍게도 담배꽁초였다. 아이들은 ‘왜 놀이터에 담배꽁초가 많지?’ 의문을 제기했고 이를 계기로 담배꽁초를 줍는 어린이 꽁린이수사대의 환경 활동이 본격 시작되었다. 기본적인 줍깅 활동 외에도 꽁린이수사대는 다양한 환경 캠페인에도 참여한다. 아이들은 <담배꽁초 형제 이야기>라는 거리 환경극을 만들어 창원그린엑스포나 탄소중립박람회에서 시연을 하고, 직접 만든 환경 보드게임을 시민들과 함께하는 캠페인도 벌였다. 올해는 아이들 스스로 마을 환경문제를 고민하고 대안

맛있고 예쁘고 건강한 비건 디저트

맛있고 예쁘고 건강한 비건 디저트

라이크비건 | 기메 메빵소 | 지우비건 베이커리카페

Q1 <라이크 비건> 소개 부탁드려요 2022년 4월 개업한 비건 디저트 카페입니다. 그날그날 라인업을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있어요. 저희가 판매하는 모든 디저트는 NO 버터, NO 우유, NO 계란인데요. 수입 백밀가루도 사용하지 않고요, 단맛은 비정제원당을 사용합니다. 카페 운영했던 경험을 살려서 스페셜티 커피도 내리고 있으니 오셔서 맛있는 비건 디저트와 함께 맛보세요. Q2 비건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아토피가 심해서 방법을 찾다가 비건을 알게 됐습니다. 4년 전만 해도 김해에 비건은 잘 알려지지 않았었죠. 그래서 직접 비건 식사를 만들어 먹기도 했습니다. 구운 두부를 김에 싸서 간장에 조리면 양념된 장어와 비슷한 맛이 납니다. 신기하죠? Q3 사장님 추천 메뉴는? 코코넛볼스콘, 호두초코 르뱅쿠키, 찹쌀 티그레, 수제 블루베리잼 쌀쿠키입니다. 라이크비건 대표 박재현

지구를 지키는 우리가 지구살림꾼!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지구를 지키는 우리가 지구살림꾼! 탄소중립 실천포인트

지구도 살리고 가계 살림도 챙기는 똑똑한 살림꾼 되기

실천포인트 적립금이 쏠쏠 탄소중립 실천포인트는 일반 국민의 탄소중립 생활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민간 기업의 친환경 활동 이용 시 이용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친환경 활동을 실천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탄소중립포인트 녹색생활실천 누리집(https://cpoint.or.kr/netzero)에서 회원가입 후 참여할 수 있다. 인센티브는 1인당 1년에 최대 7만 원을 현금 또는 카드사 포인트로 지급받는다. 등급 달성 재미가 솔솔 적립 포인트를 기준으로 등급이 나눠져 등급 달성 재미도 있다. 신규회원일 경우 ‘새싹’ 등급, 적립 포인트 2만 원 이상 ‘나무’ 등급, 4만 원 이상 ‘숲’ 등급, 7만 원을 적립하면 ‘지구’ 등급이 된다. 등급은 누리집 ‘마이페이지 ▹ 실천포인트 조회

지구를 위한 생활 속 꿀팁

지구를 위한 생활 속 꿀팁

제로웨이스트숍과 업사이클링숍에서 배우는 팁

안녕, 지구야 대표 최선미 Q1. 〈안녕, 지구야〉 소개 부탁드려요. 2021년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에 오픈한 쓰레기를 줄이는 가게입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분들과 얘기도 나누고,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만들었어요. Q2. ‘쓰레기 줄이기’에 갓 입문한 분들을 위해 추천하고 싶은 제품이 있을까요? 일상생활에서 꼭 써야 하는 제품인 대나무 칫솔인데요. 플라스틱으로 만든 칫솔은 썩지 않아 문제인데, 대나무 칫솔은 자연에 해를 덜 주면서 사용감은 기존 칫솔과 비슷해서 추천해요. Q3. 일상에서 실천중인 ‘쓰레기 줄이기’ 방법이 있나요? 소비를 줄이고, 먹거리 같이 어쩔 수 없이 사야 하는 건 플라스틱 쓰레기가 포함되지 않은 걸 사요. 그리고 식당에 가면 먹지 않는 음식은 안 받고, 물티슈도 쓰지 않고 나옵니다

우리가 기후 위기를 막을 수 있을까?

우리가 기후 위기를 막을 수 있을까?

기후 위기 앞에서 할 수 있는 색다른 환경 보호 방법 소개

비건이 정말 도움이 될까? 한국채식연합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채식 인구는 약 200만 명을 돌파했다. 많은 사람이 채식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히 채식을 좋아해서 실천하는 사람도 있지만, 보다 깊은 의미를 두는 경우도 있다. 기 후 위기 대응 방법으로 채식을 선택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고기 하나를 만드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경 파괴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사육하며 발생하는 분뇨 처리 등은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고 온실가스를 내뿜는다. 계속해서 증가하는 고기 소비의 공급을 맞추기 위해 짓는 다양한 시설은 열대우림을 파괴시킨다. 채식은 분명 기후 위기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잘 먹어온 고기를 갑자기 끊는 것은 힘들다. 그러니 일주일 중 하루를 '채식의 날'로 정하거나, 평소 먹는 식단에서 조금씩 고기를 빼는 등 단계적으로 채식을 시도해보자. 고

처음으로 이전
1
다음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