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브르 박물관, 퐁피두 센터와 함께 파리의 3대 미술관으로 꼽히는 오르세 미술관. 19세기 이후의 근대 미술 작품을 전시하는 이곳에는 반드시 감상해야 할 그림이 있다. 바로 프랑스 인상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가 그린 <올랭피아>(1863)다. 아름다운 여인의 누드화인 <올랭피아>는 마네가 1865년 정기 전람회 살롱전에 출품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전람회에서 입선이라는 좋은 성과를 얻었지만, 그의 그림은 스캔들을 일으키며 혹평과 빗발치는 야유로 전시가 어려울 정도였다. 그의 그림이 비난받은 이유는 무엇일까? 마네의 <올랭피아>에 숨겨진 의미를 찾아 떠나보자
금기(禁忌)에 주목한 작가 마네
마네의 작품 <올랭피아>(1863)를 보면 불쾌한가? 당시 사람들은 살롱전에 걸린 이 그림을 보고 천박하고 추잡하다는 비난을 퍼부었다. 왜냐하면, 이 그림은 그 시대 사람들 눈에는 피하고 싶은 어떤 현실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여성의 목에 묶여 있는 가죽 장식과 팔찌, 나막신 등은 당시 창부들이 즐기던 장신구였고, 이 그림의 제목인 ‘올랭피아’라는 이름도 창부들이 즐겨 사용했던 애칭이었다. 이 작품은 당시 관람자들에게는 큰 지탄을 받았지만, 지금은 여러 측면에서 모던 아트의 선구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작품이다. 마네는 인상주의자들의 선배 격이 되는 화가로서 전통적 회화 기법을 무너뜨리는 모던 아트의 선구적인 그림들을 남겼지만, 항상 제도권의 인정을 받고 싶어 했고, 전통적인 작품들에서 그 구도와 도상들을 취했다. 마네는 이 작품의 구도를, 전통적인 여성 누드의 모범으로 여겨지는 티치아노(Tiziano Vecellio)의 <우르비노의 비너스>로부터 취하고 있는데, 모든 것들을 조금씩 바꾸었다. 물론 그 약간의 변화가 결국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변형이 가져온 의미의 변화
<우르비노의 비너스>는 우르비노 공작이 자신의 결혼을 기념하기 위해 주문한 그림이다. 이것이 결혼과 관련된 그림임을 알아볼 수 있는 도상학적인 단서는 바로 오른편에 있는 강아지다. 강아지는 남녀 간의 충절을 상징하기 때문에 결혼에 관한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요소다. 하지만 마네는 그것을 고양이로 바꾸었다. 도상학적으로 고양이나 원숭이는 강아지와는 반대로 남녀 간의 부적절한 관계를 나타낸다. 그래서 마네 그림 속 고양이는 그림속 인물인 ‘올랭피아’가 매춘부라는 것을 암시한다. <우르비노의 비너스>에서는 하녀가 혼숫감을 정리하고 있지만, <올랭피아>의 하녀는 간밤에 손님으로부터 전달된 꽃을 들고 있다.
형식적으로 볼 때, 원근법적인 르네상스 회화 <우르비노의 비너스>는 비너스가 누워 있는 전경, 하녀가 혼숫감을 준비하고 있는 중경, 멀리 풍경이 보이는 후경에 이르는 깊이 있는 공간을 보여준다. 그러나 <올랭피아>의 공간은 그리 깊지 않다. 침대는 <비너스>처럼 공간 안에 편안하게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앞쪽으로 바짝 들려 있는 느낌이고, 침대 뒤편은 커튼에 의해 공간감이 차단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이후 인상주의로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전통적인 원근법에 대한 파괴의 징후다. 그런 점에서 마네의 작품은 형식적인 면에서도 전통 회화의 원근법이 해체되는 모던 아트의 특징을 담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이 당대 사회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마르크시즘 입장에 서 있는 비평가들은 그것을 높이 평가한다. 이 그림이 매춘과 성병, 그리고 그로 인한 죽음이라는 감추고 싶은 당대의 문제를 강력하게 환기했다는것이다. 당시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농촌으로부터 이주한 도시 노동자 계층이 형성되면서 성이 상품화되는 매춘이 더욱 성행했고 더불어 성병이 큰 사회 문제였는데, 이 그림은 그러한 사회적 현실을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이 그림을 보는 당대의 관람자들은 불쾌하고 불편해졌다. 또한 전통적인 작품에서는 이례적인 현상으로서 하층 계급의 창부가 주제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도 모던 아트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모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이 작품은 페미니즘적인 관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전통적으로 여성의 누드는 관람자가 남성이라는 가정하에 그려졌다. 그래서 감상의 대상이 되는 여성의 시선은 관람자가 편안하게 자신의 몸을 감상할 수 있도록 처리됐다. 즉 눈을 내리깔거나 시선을 피하고 심지어는 얼굴을 이불로 덮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례적으로 마네의 <올랭피아>는 관람자를 빤히 쳐다보고 있다. 어찌 보면 올랭피아의 표정은 관람자를 경멸하듯이 내려다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그것은 전통적인 누드의 수동적이고 유혹하는 것 같은 표정과는 아주 다르다. 그래서 관람자들은 이 누드가 뻔뻔스럽다고 느꼈고 더욱 기분이 나빠졌던 것이다. 이러한 올랭피아의 시선과 표정은 자신의 몸을 시선으로 지배하고자 하는 관람자들의 욕망을 물리치고 있다는 점에서 페미니즘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올랭피아의 시선은 화가 자신인 마네의 관점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지만, 그것은 <올랭피아>의 모델이었던 빅토린 뫼랑(Victorine Louise Meurent)의 성향과도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뫼랑은 마네가 즐겨 그린 모델이었는데, 뫼랑 자신이 직접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마네와 같은 해 살롱전에 작품을 출품했다가 마네는 떨어지고 뫼랑은 입선한 적도 있었다. 이 여성은 다소곳하고 순종적인 여인이 아니라 매우 당돌하고 도전적인 여성이었다고 전해지는데, 그러한 그녀의 성향은 마네가 전통적인 누드와는 다른 페미니스트 성향의 누드를 그리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상과 같이 작품의 내용을 다루는 도상학, 형식을 다루는 양식론, 페미니즘, 마르크시즘, 역사적 해석과 같은 다섯 가지 관점으로 해석해 본 것처럼, 마네의 <올랭피아>는 당시로써는 매우 급진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이었다. 전통으로부터 모던 아트로 넘어가는 미술사적 분기점에 서 있는 중요한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