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책방 ‘생의 한가운데’라는 이름에 많은 사연이
담겨 있을 것 같습니다.
스무 살에 읽었던 소설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라는 장편 소설 제목으로 이 공간의 이름을 정했습니다. 그 이유는 소설 속 주인공 니나 부슈만의 치열하고 열정적인 삶, 자신의 선택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불현듯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소설 속 한 문장이 인상 깊게 남았습니다. ‘내 얼굴은 말끔한데 니나의 얼굴에는 표정이 가득하다. 니나는 이 얼굴을 위해 많은 대가를 치렀다.’ 저 역시 2015년부터 ‘공간’으로서 8년, ‘책방’으로 3년 차가 되어가는 이곳, 생의 한가운데서 많은 대가를 치렀습니다.
이 공간을 조성하면서 어떤 대가들을 치르셨나요?
2014년, 우리를 숨 막히게 한 사회적 폭력, 세월호 참사에서 우리의 얼굴을 마주하며 많이 괴로웠습니다. 이후 슬픔과 분노를 넘어서기 위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저희가 자리하기 전에는 근처에서 인문 공부를 깊게,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곳이 없었습니다. 사람들이 배움을 매개로 만나고 삶을 나누며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공동체’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공간 때문에 자리했지만, 처음에는 물과 가스, 전기가 모두 나가서 집으로서의 기능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그간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생가에서는 펼쳐지는 행사들이 궁금합니다
초반에 생가를 대표하는 프로그램은 ‘달달 인문학’과 ‘생가 인문강의 축제’였습니다. 달달 인문학은 공간을 조성하기 전부터 매달 진행한 다양한 주제의 인문강의입니다. 지난 8월, ‘작은 공간 동네 책방의 힘’이라는 주제로 58번째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생가 인문강의 축제는 2016년부터 매년, 2월 셋째 주에 2박 3일간 이어지는 릴레이 인문강의입니다. 2021년 코로나19로 멈추기 전까지 5년 동안 모두 48회의 릴레이 강의가 있었습니다. 강사님들의 재능 연대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행사입니다. 강사비, 차비도 없이 무상으로 펼쳐졌음에도 강의 에너지는 지역의 인문 정신을 드높이고 생가가 지역 속에 자리 잡는 데 큰 힘이 됐습니다. 소낙비 강의에 젖은 사람들은 이후 생가 지킴이가 되었습니다.
‘인문 공간 생가’에서 ‘책방 생가’로의 체질 개선,
운영하실 때의 마음가짐도 달라지셨을 것 같습니다
작가 지원 사업이나 지역서점 문화활동 지원 사업 같은 공모 프로그램을 열심히 진행했습니다. 코로나19 시절에도 책방은 얼음 밑물고기처럼 쉬지 않았습니다. 책방에서 일어난 일은 해마다 한 권의 문집으로 만들어 나누는 일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가에는 여러 독서모임이 있습니다. 우애와 환대를 실천하는 ‘골목 독서회’, 청소년 모임 ‘첵첵 bc’, 청년 책모임 ‘푸른 책갈피’, 그리고 인연 따라 책을 나누는 ‘시절 독서’도 반응이 좋습니다. 매월 마지막 주 목요일엔 김해 ‘녹색평론 독자모임’, 고전을 읽는 ‘맹자반’, 오카리나를 배우는 ‘골목 오카리나’, 스케치의 기초를 연습하는 ‘연필 하나’등 다양한 모임도 있습니다. 다양한 활동이 있지만, ‘사람이 모여 함께하는 공간’이라는 점은 일맥상통합니다.
생가만의 문화를 자랑해 주신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사람들이 깃든 책방 ‘생가’에는 작은 생태계가 만들어졌습니다. 행사 때마다 일손을 보태고 손님을 함께 맞이합니다. 기부와 증여도 수시로 일어납니다. ‘갈매기의 꿈’은 어른 세대가 청년 세대의 책읽기를 응원하는 책방 생가만의 프로젝트입니다. 책방 이용자의 기부금으로 책을 구입하는 청소년과 청년에게 책값의 20%를 할인합니다. 좋은 책을 나누고 싶은 분은 불특정 다수에게 책을 선물하기도 합니다.
‘만남이 꽃처럼 피어나는 순간’들이 책방을 살아있게 만듭니다. 이문회우(以文會友), 이우보인(以友輔仁)이라는 증자의 말씀처럼 책으로 만나 세상을 이롭게 만드는 일, 우리 책방이 꾸는 꿈입니다. 함께 걸어가는 모든 분께 고마운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