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김해문화재단 웹진

search
제2회 구지가문학상 수상자, 시인 김루
<공원의 표정>으로 돌아본 등단 12년, “한 호흡 쉬고 다시, 多詩”
글.권혁제 에디터 사진.권혁제 에디터
최근 ‘제2회 구지가문학상 공모전’이 열렸다.
이번 공모전은 등단 10년 이상의 문인을 대상으로 한 구지가문학상과
누구나 참여 가능한 가야문학상 두 부문에 총 1,169편의 작품이
접수되어 치열한 작품 경쟁이 펼쳐졌다.

대상인 구지가문학상을 수상한 주인공은 <공원의 표정>의
시인 ‘김루*’. “시인 등단 후 12년간 ‘시집 한 권을 내더라도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시집을 준비하자’라는 고집을
부리다 많이 지쳤어요. 포기할까, 고민하기도 했구요.
하지만 ‘구지가문학상’이라는 기쁘고 감사한 소식이
詩(시)를 포기할 수 없게 만드네요.”

감각이 녹슬까 달팽이처럼 더듬이를 세우고
느리게 걷는, 시인 김루는 현실 너머의 현실에
가닿기 위해 어쩜 캥거루처럼 껑충 뛰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녀의 12년 세월을
함께 돌아봤다.

‘김루’라는 필명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2010년 현대시학 등단 후 동명인의 시인이 계셨습니다. 성별이 다르고 정치를 하시던 분인데 제 이름을 검색하면 온통 그분의 이야기가 나왔죠. 아랑곳 않고 지내던 어느 날, 지리산 문학 기행을 떠났습니다. 눈부신 하얀 설산에 뜬 무지개를 배경삼아 경남대 교수님이신 정일근 시인께 “선생님, 저 필명 좀 지어주세요”라고 청했더니 “너는 캥거루와 많이 닮았다. ‘김루’ 어때?”라고 하셨어요. 어감이 좋아서 현대시학의 주간이신 정진규 선생님께 말씀드렸더니 한글도 좋지만, 한자를 가지라는 제안에 별이름 ‘婁(루)’자를 붙이게 되면서 필명이 완성됐습니다.

제2회 구지가문학상 공모전에서 구지가문학상을 받으셨습니다
참여 계기와 소감을 밝혀주십시오

사실 공모 기간 막바지에 이번 공모전에 대해 알게 됐습니다. 한 지인이 시집을 준비하면서 참 많이 힘들어하는 제 모습을 지켜보며 이 공모전에 출품 한 번 해보라는 제안을 하셨어요. 제 작품이 좋은데, 서울에 있는 출판사에서 저를 알아보지 못하는 거라는 농담으로 저를 위로해주셨어요. 출품 마감 전날 아침, 자기는 출품했는데 저는 출품했는지 묻는 전화가 왔죠. 그래서 급하게 마감일 아침에 출품을 했는데 덜컥 대상이라는 수상 소식을 듣게 됐습니다. “숨한 번 고르고 다시 시를 써라”하는 암시를 받은 기분이었습니다.

수상작 <공원의 표정>을 짓게 된 계기와 의미 등
시를 쓰던 때에 대한 이야기가 듣고 싶습니다

<공원의 표정>은 요즘 우리 현대인의 내면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생각했습니다. 누구나 살면서 숨 막히고 힘들 때, 외롭고 쓸쓸한 때가 많잖아요. 그럴 때마다 저는 공원을 찾습니다. 특히 생활권에서 가까운 울산대공원을 찾는데, 아이들의 웃음소리, 젊은 부부들이 함께하는 아름다운 모습, 연인들과 혼자 걷는 사람등 참 다양한 표정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을 쓰던 때에도 같이 걷고 있었지만 혼자인 것만 같은 때, “셋이면서 왜 혼자인 걸까?”라는 생각에서 시가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시를 쓰면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과 가치관은 무엇인가요?

저는 늘 허기를 느껴왔습니다. 공부를 하면 더 부족한 제가 보였고, 뚜렷하게 무엇 하나 잘하는 게 없어서 부끄러웠습니다. 시도 마찬 가지였습니다. 그래서인지 한번 더 멈춰 고민하고 돌아보게 됩니다. 시는 그제야 생명력을 갖고 숨을 내쉬는 것 같습니다. 철학이나 가치관이라고까지 말할 수 없으나 부조리함 속에서 만나는 게 ‘시’였습니다. 그럴 때면 걷는 날이 많았고, 걷다 보면 어느 한 지점에서 시가 재구성되고, 긍정적으로 보이는 때도 있어 시로 표현합니다.

앞으로의 활동 계획과 김해 시민분들에게
인사 한 말씀 전해주십시오

영광스러운 자리에서 김해 시민분들에게 인사드리게 되어 무척 반갑습니다. 열심히 제 자리에서 지금처럼 긴장의 끈을 놓지 않으려 최선을 다할 겁니다. 감각, 감성이 무뎌지지 않도록 계속 노력해야죠. 내년 초, 시집 출간을 앞두고 있습니다. 제 시 한 편이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된다면 그보다 더 행복한 일은 없을 겁니다. 그 한 편을 위해 더 고민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시를 쓰며 흔히 하는 말이 있습니다. “시는 쓸데없는 모든 짓에서 시작된다. 이 또한 하나의 삶이고 틈이자 숨이다.” 우리는 그 숨에서 아름다움과 추함, 부조리함을 관찰합니다. 눈앞의 일들만 바라보지 않고 현실 너머의 세상을 재창조하거나 재구성하는 생각으로 살아갑니다. 그게 곧 꿈이고 희망이라 생각합니다. 김해 시민분들도 힘들고 지칠 때 아름다운 길, 가야의 길을 걸으며 먼 곳이 아닌 가장 익숙한 곳에서 꿈을 발견하고 시작해 보시길 권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작성일. 2022.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