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적 역사 오페라의 새 가능성 보여준 오페라 〈허왕후〉
한국 창작오페라의 역사는 한국 오페라 역사와 나이가 같다. 한국 최초로 베르디 〈춘희〉(라 트라비아타)가 서울 시공관에서 공연된 1948년, 작곡가 현제명은 야심적인 창작오페라 〈춘향전〉을 완성했고 2년 뒤 초연했다. 73년에 이르는 한국 창작오페라의 역사는 그만큼의 한계도 보여 왔다. 거듭 무대에 오르면서 음악팬과 대중의 기억에 뿌리를 내린 창작오페라는 손에 겨우 꼽을 정도이기 때문이다.사료 속의 영웅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역사 오페라’의 경우 사정은 더욱 좋지 않았다. 주인공의 기념비적 성격에 작품이 함몰되어 청중들에게 직접 호소하는 매력을 찾아내는 데 한계가 컸다. 그러므로 김해문화재단이 8~10일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에서 공연한 오페라 〈허왕후〉는 사랑과 음모가 어울려 흥미를 견인하며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사 오페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가볍